1. 영화 소개와 줄거리 – 미제 사건을 파헤치다
영화 조디악(Zodiac, 2007) 은 1960~70년대 미국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조디악 킬러(Zodiac Killer) 사건을 다룬 범죄 스릴러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단순한 연쇄살인 스릴러를 넘어, 사건을 쫓는 인간들의 집착과 그로 인해 무너져가는 삶을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데이비드 핀처(David Fincher)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긴장감 넘치는 연출과 차갑고 사실적인 분위기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영화에는 제이크 질렌할(로버트 그레이스미스 역),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폴 애버리 역), 마크 러팔로(데이브 토스키 형사 역) 등이 출연했으며,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조디악 킬러를 추적하는 인물들을 연기한다.
196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그 주변 지역에서 정체불명의 살인마가 등장한다. 그는 무차별적으로 사람들을 공격한 후, 지역 신문사에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는 편지와 암호문을 보내며 경찰과 언론을 조롱한다. 경찰과 신문사는 그를 ‘조디악 킬러’라고 부르기 시작하며, 이 사건은 점점 미국 전역에서 큰 이슈로 떠오른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신문사의 만화가 로버트 그레이스미스(제이크 질렌할)는 처음에는 사건에 대해 단순한 관심을 가지지만, 점점 조디악 킬러의 암호문에 매료된다. 신문사 기자 폴 애버리(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조디악 사건을 적극적으로 취재하면서 명성을 쌓지만, 살인범으로부터 협박 편지를 받은 후 점점 알코올에 의존하며 무너져간다.
한편, 샌프란시스코 경찰청의 형사 데이브 토스키(마크 러팔로)는 조디악 사건을 담당하며 끝까지 살인범을 추적하지만, 확실한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수사는 난항을 겪는다.
시간이 흐를수록 경찰과 언론은 조디악 킬러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해 수많은 용의자를 조사하지만,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아 번번이 실패한다.
가장 유력한 용의자는 아서 리 앨런(John Carroll Lynch) 이라는 남성이다. 그에게는 여러 정황상 범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아 체포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은 점점 사건에 지쳐가고, 경찰 수사도 점점 흐지부지된다. 하지만 로버트 그레이스미스는 혼자서라도 조디악 킬러의 정체를 밝히겠다는 집념을 불태우며 조사에 몰두한다.
그러나 결국 영화는 조디악 킬러가 끝내 잡히지 않은 채 미완의 결말로 끝이 난다. 시간이 흘러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그리고 한 남자의 끝없는 집착과 집요한 추적만이 남는다.
이 영화는 단순히 범죄를 해결하는 구조가 아니라, 사건 자체가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파괴하는지를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2. 후기와 느낀점 – 집착과 공포, 그리고 미제 사건의 실체
대부분의 범죄 영화가 살인범의 정체를 밝혀내는 데 집중하는 반면, 조디악은 ‘미제 사건’이라는 특성상 정답이 없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점에서 영화는 기존의 스릴러와 차별화된다.
가장 인상적인 점은 영화가 집착하는 인간의 심리를 철저히 파헤친다는 것이다. 주인공 로버트 그레이스미스는 처음엔 단순한 호기심으로 시작했지만, 점점 조디악 사건에 사로잡혀 자신의 삶을 망쳐가며 모든 걸 쏟아붓는다. 형사 토스키와 기자 애버리 역시 처음에는 사명감과 흥미로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무너져 간다. 조디악 킬러보다도, 그를 추적하는 인간들의 심리가 더 무섭게 다가온다.
또한, 영화의 연출과 분위기는 압도적이다. 데이비드 핀처 감독 특유의 차가운 색감, 세밀한 디테일, 정교한 연출이 조디악 사건이 벌어졌던 당시의 공포감을 그대로 재현했다. 긴장감 넘치는 전개 속에서도, 영화는 실제 사건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현실감을 높인다. 특히, 살인이 벌어지는 장면들은 잔인한 연출 없이도 충분히 섬뜩하고 소름 끼친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단순한 결말을 원하거나, 범인의 정체가 밝혀지는 통쾌한 결말을 기대하는 관객에게는 답답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조디악 사건은 실제로 해결되지 않았고, 영화 역시 완벽한 해답을 제시하지 않은 채 현실적인 결말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이야말로 영화가 던지는 가장 강렬한 메시지다. 현실에서는 모든 사건이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으며, 때로는 집착이 가장 위험한 감옥이 될 수 있다.
결국, 조디악은 단순한 스릴러가 아닌, 집착과 미제 사건의 공포를 담은 걸작이다. 긴장감 넘치는 연출과 깊이 있는 심리 묘사가 인상적이며, 영화를 보고 난 후에도 조디악 킬러의 존재가 머릿속을 맴돌게 만드는 강렬한 작품이다.
'영화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든카드 리뷰|배신의 도박극 (0) | 2025.03.16 |
---|---|
크루서블 - 마녀재판의 광기 (0) | 2025.03.16 |
스노우맨 감상평|차가운 흔적을 쫓다 (0) | 2025.03.15 |
버티칼 리미트 – 목숨을 건 극한의 선택 (0) | 2025.03.14 |
비투스 감상|성장과 자유의 이야기 (0) | 2025.03.14 |